CS CENTER
1600-6995
COMMUNITY
공지사항
MAGAZINE
1:1 게시판
Q&A
REVIEW
EVENT
LOGIN
JOIN
ORDER
MY PAGE
BRAND
SHOP
FAMILY&FRIEND
B2B 도매
도매회원 승인요청
REVIEW
EVENT
자료실
MAGAZINE
0
검색
X
추천 검색어
자료실
“숙취와 다르다”…레드와인 마신 뒤 두통은 ‘이것’ 때문
UC데이비스 교수 "포도 껍질에 있는 케르세틴이 원인"알코올 분해 과정 방해…포도가 받는 햇빛 양이 결정레드 와인 마신 후 몇 분에서 몇 시간 이내 증상 발생이미지 출처 : 동아일보 - 뉴시스(http://www.donga.com) 과학자들은 레드 와인을 조금만 마셔도 곧 두통을 느끼는 이유에 대해 오랫동안 탐구해왔는데 최근 이런 두통을 유발하는 가능성이 높은 물질이 확인됐다.2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앤드류 워터하우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UC)데이비스캠퍼스 양조학 명예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레드 와인에서 발견된 약 12가지 화합물을 실험한 결과 포도 껍질에서 발견된 화합물인 케르세틴을 두통의 원인으로 새롭게 지목했다. 과거 레드 와인에 포함된 두통 유발 물질로 타닌, 아황산염, 히스타민 등이 거론됐다. 이 연구는 지난 20일 사이언티픽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워터하우스는 “우리 몸은 마신 알코올을 제거하기 위해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케르세틴이 이를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레드 와인의 케르세틴은 해독 과정을 중간에 멈추게 한다”고 말했다....기사 내용 더 보기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31124/122335640/1레드와인의 두통원인에 대한 새로운 가설_quercetin glucuronide에 의한 ALDH의 억제 (PDF Downloads) ▼https://drive.google.com/file/d/1c94Y6zl2Hz0b87sKUm67hs1ZiW0SLFsQ/view?usp=drive_link
쌀 발효 추출물이 탈진 운동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에 미치는 영향
쌀 발효 추출물이 탈진 운동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에 미치는 영향탈진적인 운동을 수행하기 전에 KISLip을 섭취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와 적혈구 막에 존재하는 다중 불포화 지방산의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생성된 유해 알데히드를 중화시켜서, 탈진적인 운동에 의한 적혈구나 간세포의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일정 부분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탈진적인 운동이 혈액학적인 양상 (CBC 8종)과 함께, 각종 피로(lactate), 적혈구 용혈 (haptoglobin), 근육(LDH와 CPK 활성) 및 간 손상 (γGT) 활성을 포함하는 신체적인 손상지표에 미 치는 효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유해 알데히드를 제 거하는 ALDH의 높은 효소 활성을 진니고 있는 쌀 발효 추출물의 섭취가 완화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 한 결과, 적혈구 용혈 지표에 대해서 완화 효과를 확 인하였을 뿐 아니라,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 도는 아니었지만, 간 손상지표인 γGT에 대해서도 약간의 완화 효과가 관측되었다. 이는 기존의 활성산소에 의한 유해한 효과를 방 지하기 위한 중재 요법들(interventions)이 주로, 항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항산화 시스템의 효능을 높 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한 유해 알데히드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상기한 유해 효과의 경감에 있어 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출처 : 한국체육과학회지, 2019, 제28권 제3호, pp.691-702
통풍모델 흰쥐에서 ADH/ALDH 복합 단백질의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288956334
[도서] 대국민 건강 선언문
『대국민 건강선언문』을 통해 최근 우리의 일상생활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 등 환경질환과 신종 감염병에 대하여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내용을 비롯하여 금연, 절주, 균형식, 적절한 신체운동, 규칙적 수면, 긍정적 사고방식, 정기적 건강검진,스트레스 관리, 모바일 기기와 거리두기 등에 대한 실천수칙을 마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12226341
[도서] 술 한잔의 의학
목차1부 술 한 잔과 한 · 중 · 일1편 2015년 겨울, “으악” 뇌 과학자 15명의 발표01 의사들 왜 이리 무식하니?? 72015년 겨울, 한 통의 전화 8소주 연구 발표 두 달 전, 우려하던 일이 1202 반박 편지를 보내다 17한·중·일 40%가 소주 한 잔을 못 마시는 이유 1812개 신문 방송에 반론 메일을 보냈으나 22갑자기 전화를 준 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2503 450개의 댓글 ‘불타는 고구마’ 31450개의 댓글, 뜨거운 반응 34칭찬, 뿌듯, 조롱, 현실 37아시안 플러쉬Asian flush와 삼십육 41공공 과학 도서관에서 만난 첫 번째 스승, 요코야마 4704 3개월 만에 도착한 답변 53의사들보다 훌륭한 소주 회사? 543개월 만에 도착한 답변 592편 “와인 매니아를 잠재울 토크”05 맨해튼 북쪽과 South Korea 65상당히 센 제목, 상당히 센 결론? 66한국 의사, 뉴욕 의사 71컬럼비아 선생들의 신중한 결론 7406 박사 15명 Vs 석사 1명 77국가대표급 역추적, 그러나 78돼지고기 삼겹살구이, 돼지고기 삶은 고기 8420년간 한 번도 묻지 않았다. 국가대표 맞아? 89술 안 먹는 게 아니고 술 못 먹는 거야! 9407 오즈를 찾아 셰익스피어를 찾아 97여러분께 드리는 선물, 오즈의 마법사 102헨리 4세 2부, 1막 1장 181줄 106영어 잘하는 사람들 모여라 110경마장을 거쳐 서점에 가다 1 114경마장을 거쳐 서점에 가다 2 11808 와인과 소주, 누가 더 좋을까? 125프랑스인의 심장을 지켜낸 분; ‘프렌치 패러독스’ 126어떻게 감히 와인과 소주를 비교해? 132와인 매니아를 잠재울 토크 137나이키 갈고리를 잡아 편 후 물속에 139“여보, 음주량과 노화를 그림으로 그려줘!” 1433편 소주와 뇌졸중이 실린 잡지, ‘신경학’09 ‘신경학’이라는 영문 잡지 153박 대통령이 제대로 인용을 했...(하략)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916329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3>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3> 마신 술(酒)의 흡수와 해독, 그리고 안주술 한 잔으로 친구도 되고, 현실의 어려움과 괴로움을 잊기도 하는 묘약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마시다 보면 술이 술을 마신다는 이야기처럼 어느새 고주망태가 되어 다음날 두통, 속 쓰림, 메스꺼움, 탈수현상 등으로 고생을 한 적도 있을 것이다. 음식물을 먹을 때는 배가 불러지면 그만 먹기도 하고 다이어트를 할 때는 아예 먹을 량을 정하고 먹기도 하는데, 술을 마시면 왜 조절할 수 없을까. 술이 입을 통해 목구멍으로 넘어가면서 일어나는 인체 내 흡수와 배출, 그리고 해독, 술잔의 크기에 담긴 이야기들을 과학적으로 산책해보자. <술의 시작> 술은 미생물(효모<Yeast>)이 쉽게 이용 가능한 당분이 있어 발효하기 쉬운 과실, 가축의 젖에서 발효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원숭이 술(원주, 猿酒)을 술의 기원 중 하나로 본다. 그 이유는 원숭이가 술을 담그기 보다는 떨어진 과일에 공기 중 효모가 떨어져 자연스럽게 발효가 되었을 것이고, 포도와 같이 껍질에 야생 효모가 많이 있어서 원숭이가 나중에 먹기 위해서 포도를 한군데 모아만 두어도 저절로 발효하여 포도주로 마실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기사 내용 더 보기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3529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2>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2> 당신은 술(酒)이 센가요? 약한가요?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종종 술을 전혀 마시지 못하거나 술에 아주 약한 친구, 그리고 반대로 두주불사를 하는 친구들을 만나게 된다.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 답은 인체 기능의 차이에 있다. 술을 잘 마시고 그렇지 못한 이유는 사람 간(肝)에 있는 알콜 분해효소 유전자의 아주 미소한 차이, 즉 알콜해독 효소 유전자를 만드는 1,551개의 염기 중 단 1개가 변이되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또한,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도 ‘알콜성 지방간’이 될 수 있다. 그 이유도 사람의 작은창자에 있는 미생물종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결국 술이 강하고 약한 것은 개인의 노력과 습관이 아니고, 유전적 요소에 의한 것이다. 갑자기, 젊은 시절, 술을 잘 못 마시는 후배에게 반강제로 술을 권하던 생각에 부끄러움마저 느낀다. 알콜 해독효소 유전적 변이에 따른 음주 사람에 따라서는 ALDH의 유전적 변이가 있는 경우, 술을 마시면서 생긴 독성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무독화 시킬 수 없어서 술을 전혀 마실 수 없거나 마시더라도 빨리 해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사람들을 ‘ALDH 변이된 사람’이라 한다. 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ALDH (Aldehyde dehydrogenase, ALDH) 효소 단백질은 51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에 487번째 아미노산이 정상일 때는 글루타민(Glutamine)인데 유전자 변이가 되면 라이신(Lysine)으로 바뀌게 되고, 이렇게 되면 알데하이드 분해율이 낮아지거나 아예 분해할 수 없어진다....기사 내용 더 보기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3528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1>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1>추천하기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1> 바이오의 중심원리(Central Dogma)바이오에 관한 이야기를 가벼운 마음으로 산책을 하듯이 혹은 커피나 차를 마시며 읽을 수 있는 쉬운 글을 써 보고 싶은 욕심에 글을 연재하기로 했다. 쉽지는 않을 것으로 느끼지만 바이오 전공자로서 최선을 다해 좋은 산책길로 안내하되 어려운 코스와 쉬운 코스를 번갈아 산책하여 지루하지 않도록 노력할까 한다. 첫 산책은 복잡한 바이오를 좀 더 단순하게 보는 방법으로 바이오의 가장 근간인 중심원리(Central Dogma)를 함께 걸어 보기로 하자.< 바이오 란? > 바이오를 이야기하면 산업적으로는 의학, 약학, 식품, 농업, 환경, 헬스 케어, 장치 등 다양한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최근 융·복합화 되면서, 바이오화학, 바이오물리, 바이오소재, 바이오공정, 바이오나노, 바이오전자, 바이오 로봇 등 점차 확대되어 바이오 기술과 전혀 관련 없는 분야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생물종도 인간을 포함한 동물, 식물, 미생물, 심지어 바이러스까지 포함되어 지구상에 존재하면서 살아서 번식을 하고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지극히 광범위한 분야이다. 이런 이유로 바이오를 전공하는 사람도 극히 일부 전공분야를 어느 정도 알고 있을 뿐 전체를 이해하기는 어려운 실정이고, 특히 생소한 용어(Terminology)와 약자(Abbreviation)들이 많아 더욱 접근하기 힘들게 한다. 하지만, 분자생물학이라는 학문적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면 생물의 형태나 에너지 취득 및 번식 방법에서는 전혀 다른 것으로 보이지만, 생명체가 세포내에서 유전정보를 어떻게 이용하여 성장하고, 번식하면서 살아가는 흐름은 동일한 것이다. 즉 생명정보인 유전자 정보를 이용해 정보를 전사(傳寫)하여 기능이 있는 단백질이 만들어 진다는 현상은 모든 생명체가 동일하다는 것이 Central Dogma(중심원리)이다. 하지만 과학이 점차 발전해 나아감에 따라서 새로운 생명현상이 밝혀지기 시작하고, 또한 중심원리에 대한 새로운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물학의 기본적인 중심원리도 많이 바뀌고 있다. ...기사 내용 더 보기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3504
글쓰기
1
본 결제 창은 결제완료 후 자동으로 닫히며,결제 진행 중에 본 결제 창을 닫으시면
주문이 되지 않으니 결제 완료 될 때 까지 닫지 마시기 바랍니다.